홍콩국제도서전 2024 (HKTDC Hong Kong Book Fair)
전시정보
HKTDC Hong Kong Book Fair는 홍콩무역발전국(HKTDC)이 주최하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도서 전시회로, 매년 7월 홍콩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어 출판업계와 독서 문화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국제적인 문화 행사입니다.
1. 행사개요
-행사명: HKTDC Hong Kong Book Fair (제35회)
-개최일정: 매년 7월 (7일간)
-개최장소: 홍콩컨벤션전시센터 (Hong Kong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
-주최기관: 홍콩무역발전국 (Hong Kong Trade Development Council)
-개최시간: 7월 16-21일 오전 10시-오후 10시, 7월 22일 오전 9시-오후 5시
-2025년 주제: "Food Culture - Future Living" (음식 문화와 미래 생활)
2. 성격
HKTDC Hong Kong Book Fair는 단순한 도서 판매 행사를 넘어서 홍콩 전역의 주요 독서 및 문화 행사로 발전했습니다. 이 박람회는 출판업계를 위한 홍보 플랫폼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홍콩 시민들을 위한 연례 주요 문화 행사가 되었습니다. 출판사, 작가, 독자들을 한데 모아 독서 문화를 촉진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며, 동서양이 만나는 국제 문화 교류의 중심지로서 홍콩의 위상을 더욱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3. 역사
홍콩 도서전의 전신은 홍콩출판연맹이 시청에서 조직한 연례 전시회였습니다. 첫 번째 홍콩 도서전은 1990년에 개최되었으며, 1989년 첫 번째 컨벤션센터 완공 후 출판업계가 더 크고 전문적인 서비스 플랫폼의 필요성을 느껴 HKTDC에 지원을 요청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주요 발전 과정을 살펴보면, 1997년에는 새로운 전시관에서 열린 첫 번째 공개 전시회가 되었고, "어린이 세계" 관과 "국제 저작권 무역박람회"가 추가되었습니다. 1998년에는 일반 대중을 위한 가족 활동으로 전환되었고, 1999년에는 최초로 야간 도서전이 도입되어 금요일에 22시까지 연장 운영되었습니다.
2009년에는 "아트 갤러리"가 최초로 설치되어 유명 작가들의 귀중한 예술품 컬렉션을 전시하기 시작했습니다. 지난 20년간 참가업체 수는 149개에서 504개로, 참관객 수는 20만 명에서 90만 명으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4. 의미
홍콩 도서전은 아시아 지역 출판업계의 중요한 허브 역할을 하며, 국제적인 문화 교류의 장으로 기능합니다. 특히 중국 본토, 대만, 해외 작가들이 참여하는 유명 작가 세미나 시리즈는 많은 중국 본토 방문객들을 끌어들이고 있습니다. 이 행사는 홍콩의 동서양 문화 교류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더욱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5. 구성 및 프로그램
주요 전시 구역
-일반 도서관 (General Books Pavilion)
-어린이 천국 (Children's Paradise)
-영어 거리 (English Avenue)
-청소년 세계 (Teens' World)
-국제 문화촌 (International Cultural Village)
-수집품 코너 (Collectible Corner)
-멀티미디어, 문구 및 문화 선물 구역
-영성 구역 (Spirituality Zone)
-전자책 및 전자학습 자료
-예술과 문화의 세계 (World of Art & Culture)
문화 프로그램
-유명 작가 세미나 시리즈: 중국 본토, 홍콩, 대만 작가들 참여
-아트 갤러리: 지역 문학 작품 전시
-문화 공연 및 스토리텔링 세션: 320개 이상의 문화 행사
-Cultural July: 6월 23일부터 7월 말까지 180개 이상의 행사
6. 해당 산업시장분석
홍콩 도서전은 출판업계의 중요한 홍보 및 판매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2024년 조사에 따르면 방문객들의 평균 지출액은 HK$912로 전년 대비 4.6% 증가했으며, 이는 연간 인쇄 도서 지출의 74%에 해당합니다.
전자 결제 서비스 도입률도 높아져 참가업체의 약 90%가 전자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인터뷰 대상 방문객의 72%가 전자 결제를 이용했습니다. 독서 선호도 조사에서는 소설(58%), 문학(38%), 만화(26%), 자기계발(22%), 여행(18%) 순으로 인기를 보였습니다.
7. 한국참가기업 (아래 관련뉴스 보기 참조)
한국문화원 홍콩이 2022년 홍콩 도서전에 참가하여 "Korea Pavilion"을 운영했습니다. 이 한국관에서는 100여 권의 한국 그림책과 문학 작품을 전시했으며, 한국의 저명한 작가-일러스트레이터인 경혜원 작가를 초청하여 사인회와 한국 그림책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한국관은 주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홍콩 한국문화원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과 한국관광공사 홍콩지사가 후원했습니다. 참가자들은 한국 도서 읽기, 전통 게임, 문화 공연 관람 등을 통해 전시를 즐겼습니다.
1. 행사개요
-행사명: HKTDC Hong Kong Book Fair (제35회)
-개최일정: 매년 7월 (7일간)
-개최장소: 홍콩컨벤션전시센터 (Hong Kong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
-주최기관: 홍콩무역발전국 (Hong Kong Trade Development Council)
-개최시간: 7월 16-21일 오전 10시-오후 10시, 7월 22일 오전 9시-오후 5시
-2025년 주제: "Food Culture - Future Living" (음식 문화와 미래 생활)
2. 성격
HKTDC Hong Kong Book Fair는 단순한 도서 판매 행사를 넘어서 홍콩 전역의 주요 독서 및 문화 행사로 발전했습니다. 이 박람회는 출판업계를 위한 홍보 플랫폼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홍콩 시민들을 위한 연례 주요 문화 행사가 되었습니다. 출판사, 작가, 독자들을 한데 모아 독서 문화를 촉진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며, 동서양이 만나는 국제 문화 교류의 중심지로서 홍콩의 위상을 더욱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3. 역사
홍콩 도서전의 전신은 홍콩출판연맹이 시청에서 조직한 연례 전시회였습니다. 첫 번째 홍콩 도서전은 1990년에 개최되었으며, 1989년 첫 번째 컨벤션센터 완공 후 출판업계가 더 크고 전문적인 서비스 플랫폼의 필요성을 느껴 HKTDC에 지원을 요청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주요 발전 과정을 살펴보면, 1997년에는 새로운 전시관에서 열린 첫 번째 공개 전시회가 되었고, "어린이 세계" 관과 "국제 저작권 무역박람회"가 추가되었습니다. 1998년에는 일반 대중을 위한 가족 활동으로 전환되었고, 1999년에는 최초로 야간 도서전이 도입되어 금요일에 22시까지 연장 운영되었습니다.
2009년에는 "아트 갤러리"가 최초로 설치되어 유명 작가들의 귀중한 예술품 컬렉션을 전시하기 시작했습니다. 지난 20년간 참가업체 수는 149개에서 504개로, 참관객 수는 20만 명에서 90만 명으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4. 의미
홍콩 도서전은 아시아 지역 출판업계의 중요한 허브 역할을 하며, 국제적인 문화 교류의 장으로 기능합니다. 특히 중국 본토, 대만, 해외 작가들이 참여하는 유명 작가 세미나 시리즈는 많은 중국 본토 방문객들을 끌어들이고 있습니다. 이 행사는 홍콩의 동서양 문화 교류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더욱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5. 구성 및 프로그램
주요 전시 구역
-일반 도서관 (General Books Pavilion)
-어린이 천국 (Children's Paradise)
-영어 거리 (English Avenue)
-청소년 세계 (Teens' World)
-국제 문화촌 (International Cultural Village)
-수집품 코너 (Collectible Corner)
-멀티미디어, 문구 및 문화 선물 구역
-영성 구역 (Spirituality Zone)
-전자책 및 전자학습 자료
-예술과 문화의 세계 (World of Art & Culture)
문화 프로그램
-유명 작가 세미나 시리즈: 중국 본토, 홍콩, 대만 작가들 참여
-아트 갤러리: 지역 문학 작품 전시
-문화 공연 및 스토리텔링 세션: 320개 이상의 문화 행사
-Cultural July: 6월 23일부터 7월 말까지 180개 이상의 행사
6. 해당 산업시장분석
홍콩 도서전은 출판업계의 중요한 홍보 및 판매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2024년 조사에 따르면 방문객들의 평균 지출액은 HK$912로 전년 대비 4.6% 증가했으며, 이는 연간 인쇄 도서 지출의 74%에 해당합니다.
전자 결제 서비스 도입률도 높아져 참가업체의 약 90%가 전자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인터뷰 대상 방문객의 72%가 전자 결제를 이용했습니다. 독서 선호도 조사에서는 소설(58%), 문학(38%), 만화(26%), 자기계발(22%), 여행(18%) 순으로 인기를 보였습니다.
7. 한국참가기업 (아래 관련뉴스 보기 참조)
한국문화원 홍콩이 2022년 홍콩 도서전에 참가하여 "Korea Pavilion"을 운영했습니다. 이 한국관에서는 100여 권의 한국 그림책과 문학 작품을 전시했으며, 한국의 저명한 작가-일러스트레이터인 경혜원 작가를 초청하여 사인회와 한국 그림책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한국관은 주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홍콩 한국문화원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과 한국관광공사 홍콩지사가 후원했습니다. 참가자들은 한국 도서 읽기, 전통 게임, 문화 공연 관람 등을 통해 전시를 즐겼습니다.
전시 주요 품목
-일반 도서: 소설, 문학, 비문학 등
-어린이 도서: 그림책, 교육용 도서
-영어 도서: 해외 출판물
-전자책 및 디지털 출판물: 온라인 출판물, 교육 소프트웨어
-멀티미디어 제품: CD, DVD 등 멀티미디어 출판물
-문구 및 문화 선물: 출판 관련 문구류
-수집품: 희귀 도서, 한정판 출판물
-영성 및 종교 도서
-청소년 도서: 청소년 대상 문학 및 교육 도서
-어린이 도서: 그림책, 교육용 도서
-영어 도서: 해외 출판물
-전자책 및 디지털 출판물: 온라인 출판물, 교육 소프트웨어
-멀티미디어 제품: CD, DVD 등 멀티미디어 출판물
-문구 및 문화 선물: 출판 관련 문구류
-수집품: 희귀 도서, 한정판 출판물
-영성 및 종교 도서
-청소년 도서: 청소년 대상 문학 및 교육 도서
전시 관련 통계
2024년 (제34회) 통계
-참가업체 수: 760개 업체
-참관객 수: 990,000명
-전시면적: 56,500㎡
-개최기간: 2024년 7월 17-23일
-참가업체 수: 760개 업체
-참관객 수: 990,000명
-전시면적: 56,500㎡
-개최기간: 2024년 7월 17-23일
Easy Fair 전시 참가 서비스 이용 절차
STEP 01. 고객사 필요사항 확인
고객사의 요구 사항을 듣고 전시회 참가 방향 설정
일반참가, 수출바우처 사용 여부 확인
참가 대상 후보 전시 조사,추천
STEP 02. 참가 전시 부스확보
추천 후보 전시 중 참여 전시 확정
부스 사이즈, 부스타입 확정 및 소요비용 산출/ 예산수립
참가신청서 접수 및 부스 임차 계약
STEP 03. 전시참가 준비착수
전시부스 이외 부가서비스 (부스디자인, 비품, 운송, 홍보, 제작물 등) 진행 범위 확정
주최측 요구사항 일정에 맞춰 처리(각종 서류접수)
기타 주최자 커뮤니케이션
STEP 04. 출장준비
전시 참가 가이드라인 준비
사전 홍보 마케팅 (관람객유입, 바이어미팅약속)
출장자 항공/숙박 예약, 출입증 등록
STEP 05. 전시참가
부스 준비- 시공, 장식, 제품 진열
전시부스 운영
STEP 06. 전시참가 마무리
전시참가 성과분석
결과보고서 작성 지원

홍콩국제도서전 2024 (HKTDC Hong Kong Book Fair)
HKTDC Hong Kong Book Fair2024년 7월 17일(수) - 23일(화)
홍콩, 홍콩전시 참가준비 고민이신가요?
경험많은 전시 전문가의 지원을 받아 전시참가 준비과정의 시행 착오를 줄여보세요.
이지페어를 통한 전시 참가준비는 쉽습니다.
경험많은 전시 전문가의 지원을 받아 전시참가 준비과정의 시행 착오를 줄여보세요.
이지페어를 통한 전시 참가준비는 쉽습니다.
- · 수출바우처 수행
- · 일반 참가
- · 전시참가 준비에 필요한 전문가풀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