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롭 - 글로벌 IT 상호운용성 전시회 2025 (INTEROP)
전시정보
INTEROP는 1986년부터 시작된 세계 최대 규모의 정보통신기술(ICT) 및 네트워킹 상호운용성 전시회로, 매년 미국과 일본 도쿄에서 개최되는 글로벌 IT 컨퍼런스입니다.
INTEROP은 "Interoperability의 줄임말로, "상호운용성" 또는 "상호호환성'을 의미합니다.
IT 분야에서의 의미
-IT 및 네트워킹 분야에서 INTEROP(상호운용성)은 다음을 의미합니다:
-기술적 호환성: 서로 다른 제조사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문제없이 함께 작동하는 능력
-표준 준수: 공통된 프로토콜이나 표준을 따라 다양한 시스템이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는 상태
-개방성: 특정 벤더에 종속되지 않고 다양한 솔루션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조합할 수 있는 환경
1. 행사개요
-공식행사명: INTEROP 인터롭
-주최기관: Informa PLC
-개최지역: 미국 및 일본 도쿄
-개최주기: 연 1회
-행사성격: IT 컨퍼런스 및 전시회
-주요목적: 네트워크 상호운용성 및 개방성 촉진
-대상분야: 정보통신기술, 네트워킹, 클라우드 컴퓨팅
-참가대상: IT 업계 종사자, 기술 개발자, 의사결정권자
2. 성격
INTEROP는 단순한 전시회를 넘어서 기술 상호운용성 실증의 장으로서의 독특한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행사는 무역박람회의 형태를 띠고 있지만 실제로는 컨퍼런스의 성격이 강하며, 다양한 벤더들의 제품 간 상호운용성을 실제로 검증하고 시연하는 플랫폼 역할을 합니다.
3. 역사
INTEROP의 역사는 인터넷 초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986년 8월: 인터넷 아키텍처 위원회(IAB)가 캘리포니아 몬터레이에서 첫 번째 TCP/IP 벤더 워크숍을 개최했으며, 이것이 INTEROP의 시초가 되었습니다. 이 행사는 Dan Lynch라는 초기 인터넷 활동가에 의해 창립되었습니다.
1988년 9월: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에서 열린 세 번째 상호운용성 컨퍼런스에서 INTEROP Shownet이 탄생했습니다. 이때부터 단순한 강의 형태를 넘어서 실제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양한 통신 장비들을 테스트하고 시연하는 실용적인 검증의 장으로 발전했습니다.
1994년: 도쿄에서 첫 번째 INTEROP Tokyo가 개최되기 시작했으며, 이후 매년 지속적으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4. 의미
INTEROP는 인터넷이 정부 후원 연구 프로젝트에서 상업적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로 발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 행사는 IBM의 시스템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같은 비인터넷 기술과 대비하여 인터넷 기술의 상호운용성을 실용적으로 입증했습니다.
특히 INTEROP는 마케팅 용어가 아닌 실제 기술적 상호운용성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는 현재의 연결된 디지털 세상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5. 구성 및 프로그램
-ShowNet: 전시장 내에서 실제 작동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참가업체들이 자사 제품의 상호운용성을 실시간으로 시연
-기술 튜토리얼: 행사 전에 진행되는 전문 기술 교육 세션
-네트워크 운영센터(NOC): 전시회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전문 팀
-제품 시연: 참가업체들의 최신 기술 및 솔루션 전시
-컨퍼런스 세션: 업계 전문가들의 기술 발표 및 토론
-상호운용성 테스트: 실제 환경에서의 제품 간 호환성 검증
6. 해당 산업시장분석
INTEROP가 다루는 주요 분야인 헬스케어 상호운용성 솔루션 시장은 급속한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4년 시장 규모: 39억 달러
-2034년 예상 규모: 147억 달러
-연평균 성장률(CAGR): 14.2%
-지역별 점유율: 북미 41.6% (2023년 기준)
시장 세분화:
-서비스 부문: 57.3% 점유율
-구조적 상호운용성: 46.8% 점유율
-진단 분야: 49.5% 점유율
-온프레미스 배포: 52.6% 점유율
-병원 부문: 58.2% 점유율
INTEROP은 "Interoperability의 줄임말로, "상호운용성" 또는 "상호호환성'을 의미합니다.
IT 분야에서의 의미
-IT 및 네트워킹 분야에서 INTEROP(상호운용성)은 다음을 의미합니다:
-기술적 호환성: 서로 다른 제조사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문제없이 함께 작동하는 능력
-표준 준수: 공통된 프로토콜이나 표준을 따라 다양한 시스템이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는 상태
-개방성: 특정 벤더에 종속되지 않고 다양한 솔루션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조합할 수 있는 환경
1. 행사개요
-공식행사명: INTEROP 인터롭
-주최기관: Informa PLC
-개최지역: 미국 및 일본 도쿄
-개최주기: 연 1회
-행사성격: IT 컨퍼런스 및 전시회
-주요목적: 네트워크 상호운용성 및 개방성 촉진
-대상분야: 정보통신기술, 네트워킹, 클라우드 컴퓨팅
-참가대상: IT 업계 종사자, 기술 개발자, 의사결정권자
2. 성격
INTEROP는 단순한 전시회를 넘어서 기술 상호운용성 실증의 장으로서의 독특한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행사는 무역박람회의 형태를 띠고 있지만 실제로는 컨퍼런스의 성격이 강하며, 다양한 벤더들의 제품 간 상호운용성을 실제로 검증하고 시연하는 플랫폼 역할을 합니다.
3. 역사
INTEROP의 역사는 인터넷 초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986년 8월: 인터넷 아키텍처 위원회(IAB)가 캘리포니아 몬터레이에서 첫 번째 TCP/IP 벤더 워크숍을 개최했으며, 이것이 INTEROP의 시초가 되었습니다. 이 행사는 Dan Lynch라는 초기 인터넷 활동가에 의해 창립되었습니다.
1988년 9월: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에서 열린 세 번째 상호운용성 컨퍼런스에서 INTEROP Shownet이 탄생했습니다. 이때부터 단순한 강의 형태를 넘어서 실제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양한 통신 장비들을 테스트하고 시연하는 실용적인 검증의 장으로 발전했습니다.
1994년: 도쿄에서 첫 번째 INTEROP Tokyo가 개최되기 시작했으며, 이후 매년 지속적으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4. 의미
INTEROP는 인터넷이 정부 후원 연구 프로젝트에서 상업적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로 발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 행사는 IBM의 시스템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같은 비인터넷 기술과 대비하여 인터넷 기술의 상호운용성을 실용적으로 입증했습니다.
특히 INTEROP는 마케팅 용어가 아닌 실제 기술적 상호운용성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는 현재의 연결된 디지털 세상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5. 구성 및 프로그램
-ShowNet: 전시장 내에서 실제 작동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참가업체들이 자사 제품의 상호운용성을 실시간으로 시연
-기술 튜토리얼: 행사 전에 진행되는 전문 기술 교육 세션
-네트워크 운영센터(NOC): 전시회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전문 팀
-제품 시연: 참가업체들의 최신 기술 및 솔루션 전시
-컨퍼런스 세션: 업계 전문가들의 기술 발표 및 토론
-상호운용성 테스트: 실제 환경에서의 제품 간 호환성 검증
6. 해당 산업시장분석
INTEROP가 다루는 주요 분야인 헬스케어 상호운용성 솔루션 시장은 급속한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4년 시장 규모: 39억 달러
-2034년 예상 규모: 147억 달러
-연평균 성장률(CAGR): 14.2%
-지역별 점유율: 북미 41.6% (2023년 기준)
시장 세분화:
-서비스 부문: 57.3% 점유율
-구조적 상호운용성: 46.8% 점유율
-진단 분야: 49.5% 점유율
-온프레미스 배포: 52.6% 점유율
-병원 부문: 58.2% 점유율
전시 주요 품목
-네트워킹 장비: 라우터, 스위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
-광통신 솔루션: 광섬유 융착기, 광커넥터, 패치코드
-데이터센터 제품: 서버, 하이퍼컨버지드 인프라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및 플랫폼
-사이버보안 제품: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IoT 및 스마트 기술: 사물인터넷 관련 제품
-AI 및 머신러닝: 인공지능 기반 네트워킹 솔루션
-5G 및 차세대 통신기술: 차세대 이동통신 관련 제품
-광통신 솔루션: 광섬유 융착기, 광커넥터, 패치코드
-데이터센터 제품: 서버, 하이퍼컨버지드 인프라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및 플랫폼
-사이버보안 제품: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IoT 및 스마트 기술: 사물인터넷 관련 제품
-AI 및 머신러닝: 인공지능 기반 네트워킹 솔루션
-5G 및 차세대 통신기술: 차세대 이동통신 관련 제품
전시 관련 통계
INTEROP Tokyo 최근 통계:
-참가업체 수: 200개 이상의 벤더 부스
-참관객 수: 일일 약 40,000명 방문객
-개최기간: 3일간
-개최장소: 마쿠하리 메세 국제전시장
-전시홀: 4-8홀 및 국제회의장 활용
-참가업체 수: 200개 이상의 벤더 부스
-참관객 수: 일일 약 40,000명 방문객
-개최기간: 3일간
-개최장소: 마쿠하리 메세 국제전시장
-전시홀: 4-8홀 및 국제회의장 활용
Easy Fair 전시 참가 서비스 이용 절차
STEP 01. 고객사 필요사항 확인
고객사의 요구 사항을 듣고 전시회 참가 방향 설정
일반참가, 수출바우처 사용 여부 확인
참가 대상 후보 전시 조사,추천
STEP 02. 참가 전시 부스확보
추천 후보 전시 중 참여 전시 확정
부스 사이즈, 부스타입 확정 및 소요비용 산출/ 예산수립
참가신청서 접수 및 부스 임차 계약
STEP 03. 전시참가 준비착수
전시부스 이외 부가서비스 (부스디자인, 비품, 운송, 홍보, 제작물 등) 진행 범위 확정
주최측 요구사항 일정에 맞춰 처리(각종 서류접수)
기타 주최자 커뮤니케이션
STEP 04. 출장준비
전시 참가 가이드라인 준비
사전 홍보 마케팅 (관람객유입, 바이어미팅약속)
출장자 항공/숙박 예약, 출입증 등록
STEP 05. 전시참가
부스 준비- 시공, 장식, 제품 진열
전시부스 운영
STEP 06. 전시참가 마무리
전시참가 성과분석
결과보고서 작성 지원

인터롭 - 글로벌 IT 상호운용성 전시회 2025 (INTEROP)
INTEROP2025년 6월 11일(수) - 13일(금)
치바, 일본전시 참가준비 고민이신가요?
경험많은 전시 전문가의 지원을 받아 전시참가 준비과정의 시행 착오를 줄여보세요.
이지페어를 통한 전시 참가준비는 쉽습니다.
경험많은 전시 전문가의 지원을 받아 전시참가 준비과정의 시행 착오를 줄여보세요.
이지페어를 통한 전시 참가준비는 쉽습니다.
- · 수출바우처 수행
- · 일반 참가
- · 전시참가 준비에 필요한 전문가풀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