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릿 아시아 스마트 에너지 산업전 2025 (Enlit Asia)
전시정보
Enlit Asia는 POWERGEN Asia와 Asian Utility Week이 통합된 아시아 최대 규모의 전력 및 에너지 산업 전시회로, ASEAN 지역의 에너지 전환을 주도하는 핵심 플랫폼입니다. 매년 9월 태국 방콕에서 개최되며, 발전부터 스마트그리드까지 전체 전력 가치사슬을 아우르는 종합 에너지 산업 행사입니다.
1. 행사개요
-행사명: Enlit Asia (구 POWERGEN Asia & Asian Utility Week)
-개최일정: 매년 9월 (3일간)
-개최장소: BITEC (Bangkok International Trade & Exhibition Centre), 방콕, 태국
-주최: Clarion Events
-규모: 참가기업 350개사, 참관객 12,000명 이상
-전시면적: 대규모 국제 전시회 규모
-참가국: 주로 ASEAN 지역 84%, 아시아권 12%, 유럽 2% 등
2. 성격
Enlit Asia는 ASEAN 지역의 에너지 전환을 촉진하는 통합형 전력 산업 플랫폼입니다. 이 행사는 단순한 전시회를 넘어서 정책입안자, 규제기관, 기술제공업체, 에너지 소비자 등 에너지 부문의 모든 이해관계자들을 연결하는 협업 중심의 산업 생태계 구축 행사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에는 "ASEAN의 현실적 에너지 전환 추진(Advancing a Realistic Energy Transition in ASEAN)"이라는 주제로 실용적이고 결과 중심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3. 역사
Enlit Asia는 3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POWERGEN Asia와 Asian Utility Week의 통합으로 탄생했습니다. POWERGEN Asia는 30년간 아시아 발전 산업의 선도적 플랫폼으로 자리잡았으며, Asian Utility Week은 아시아 유일의 유틸리티 디지털 전환 전문 전시회였습니다. 최근 개최 이력을 보면 2023년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2024년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되었으며, 2025년에는 다시 방콕으로 돌아와 개최됩니다.
4. 의미
Enlit Asia는 ASEAN 지역의 에너지 안보와 탄소 중립 달성이라는 이중 과제를 해결하는 핵심 플랫폼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이 행사는 재생에너지 통합, 디지털화, 금융 전략, 규제 프레임워크 등 에너지 전환의 모든 측면을 다루며, 특히 ASEAN Power Grid 구축과 역내 전력 거래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급속한 경제성장(2024년 ASEAN-6 평균 GDP 5.2% 증가)과 함께 증가하는 에너지 수요를 친환경적으로 충족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논의의 장입니다.
5. 구성 및 프로그램
주요 구성요소:
-Summit Programme: 고위급 정책 논의 및 전략 세션
-Knowledge Hubs: 기술 논문 발표 및 전문 세미나
-Exhibition: 350개 기업 참가 전시회
-Awards Dinner: 산업 시상식
-Networking Events: 비즈니스 매칭 및 네트워킹
핵심 프로그램 트랙:
-Opening Plenary: "ASEAN의 현실적 에너지 전환 구축"
-Collaborative Power: 지역 협력 및 국경 간 송전 프로젝트
-재생에너지 통합: 태양광, 풍력, 수력 등 신재생에너지
-그리드 현대화: 스마트그리드 및 디지털 솔루션
-청정에너지 금융: 탄소거래 및 투자 전략
6. 해당 산업시장분석
ASEAN 전력 시장은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3년 전력 수요가 3.6% 증가했고 2030년까지 2023년 대비 41% 추가 증가가 예상됩니다. 그러나 2023년 증가한 전력 수요 45TWh가 전량 화석연료로 충족되어 에너지 전환의 시급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시장의 주요 특징으로는 다양한 전력시장 구조가 있으며, 브루나이,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는 수직통합 모델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은 민간 독립발전사업자(IPP)를 통한 부분적 경쟁을 도입했습니다. 싱가포르와 필리핀만이 완전한 경쟁시장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국경 간 전력거래에서는 라오스가 87%(35TWh)로 압도적 수출국이며, 태국이 33TWh로 최대 수입국입니다. 2018-2022년 기간 동안 38GW의 재생에너지 용량이 추가되었으나, 베트남의 태양광이 44%를 차지하며 지역별 편중이 심한 상황입니다.
1. 행사개요
-행사명: Enlit Asia (구 POWERGEN Asia & Asian Utility Week)
-개최일정: 매년 9월 (3일간)
-개최장소: BITEC (Bangkok International Trade & Exhibition Centre), 방콕, 태국
-주최: Clarion Events
-규모: 참가기업 350개사, 참관객 12,000명 이상
-전시면적: 대규모 국제 전시회 규모
-참가국: 주로 ASEAN 지역 84%, 아시아권 12%, 유럽 2% 등
2. 성격
Enlit Asia는 ASEAN 지역의 에너지 전환을 촉진하는 통합형 전력 산업 플랫폼입니다. 이 행사는 단순한 전시회를 넘어서 정책입안자, 규제기관, 기술제공업체, 에너지 소비자 등 에너지 부문의 모든 이해관계자들을 연결하는 협업 중심의 산업 생태계 구축 행사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에는 "ASEAN의 현실적 에너지 전환 추진(Advancing a Realistic Energy Transition in ASEAN)"이라는 주제로 실용적이고 결과 중심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3. 역사
Enlit Asia는 3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POWERGEN Asia와 Asian Utility Week의 통합으로 탄생했습니다. POWERGEN Asia는 30년간 아시아 발전 산업의 선도적 플랫폼으로 자리잡았으며, Asian Utility Week은 아시아 유일의 유틸리티 디지털 전환 전문 전시회였습니다. 최근 개최 이력을 보면 2023년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2024년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되었으며, 2025년에는 다시 방콕으로 돌아와 개최됩니다.
4. 의미
Enlit Asia는 ASEAN 지역의 에너지 안보와 탄소 중립 달성이라는 이중 과제를 해결하는 핵심 플랫폼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이 행사는 재생에너지 통합, 디지털화, 금융 전략, 규제 프레임워크 등 에너지 전환의 모든 측면을 다루며, 특히 ASEAN Power Grid 구축과 역내 전력 거래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급속한 경제성장(2024년 ASEAN-6 평균 GDP 5.2% 증가)과 함께 증가하는 에너지 수요를 친환경적으로 충족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논의의 장입니다.
5. 구성 및 프로그램
주요 구성요소:
-Summit Programme: 고위급 정책 논의 및 전략 세션
-Knowledge Hubs: 기술 논문 발표 및 전문 세미나
-Exhibition: 350개 기업 참가 전시회
-Awards Dinner: 산업 시상식
-Networking Events: 비즈니스 매칭 및 네트워킹
핵심 프로그램 트랙:
-Opening Plenary: "ASEAN의 현실적 에너지 전환 구축"
-Collaborative Power: 지역 협력 및 국경 간 송전 프로젝트
-재생에너지 통합: 태양광, 풍력, 수력 등 신재생에너지
-그리드 현대화: 스마트그리드 및 디지털 솔루션
-청정에너지 금융: 탄소거래 및 투자 전략
6. 해당 산업시장분석
ASEAN 전력 시장은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3년 전력 수요가 3.6% 증가했고 2030년까지 2023년 대비 41% 추가 증가가 예상됩니다. 그러나 2023년 증가한 전력 수요 45TWh가 전량 화석연료로 충족되어 에너지 전환의 시급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시장의 주요 특징으로는 다양한 전력시장 구조가 있으며, 브루나이,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는 수직통합 모델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은 민간 독립발전사업자(IPP)를 통한 부분적 경쟁을 도입했습니다. 싱가포르와 필리핀만이 완전한 경쟁시장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국경 간 전력거래에서는 라오스가 87%(35TWh)로 압도적 수출국이며, 태국이 33TWh로 최대 수입국입니다. 2018-2022년 기간 동안 38GW의 재생에너지 용량이 추가되었으나, 베트남의 태양광이 44%를 차지하며 지역별 편중이 심한 상황입니다.
전시 주요 품목
발전 부문:
-터빈, 보일러, 발전소 장비
-CCUS(탄소포집활용저장), 공기질 제어
-재생에너지: 태양광, 풍력, 수력, 지열, 바이오매스
송배전 부문:
-스마트미터, DERMS(분산에너지자원관리시스템)
-HVDC(고압직류송전), 저압 배전
-계통 안정화 장비
에너지저장 및 신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ESS)
-수소·암모니아 기술
-핵에너지 솔루션
디지털 기술:
-IoT, AI, 빅데이터, 디지털 트윈
-사이버보안, 예측분석
-스마트그리드 솔루션
고객 인터페이스:
-CRM, 스마트시티 솔루션
-에너지 모니터링, 가상발전소
-터빈, 보일러, 발전소 장비
-CCUS(탄소포집활용저장), 공기질 제어
-재생에너지: 태양광, 풍력, 수력, 지열, 바이오매스
송배전 부문:
-스마트미터, DERMS(분산에너지자원관리시스템)
-HVDC(고압직류송전), 저압 배전
-계통 안정화 장비
에너지저장 및 신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ESS)
-수소·암모니아 기술
-핵에너지 솔루션
디지털 기술:
-IoT, AI, 빅데이터, 디지털 트윈
-사이버보안, 예측분석
-스마트그리드 솔루션
고객 인터페이스:
-CRM, 스마트시티 솔루션
-에너지 모니터링, 가상발전소
전시 관련 통계
2025년 규모:
-참가기업수: 350개사
-참관객수: 12,000명 이상
-전시기업 국적: ASEAN 84%, 아시아권 12%, 유럽 2%
-참가기업수: 350개사
-참관객수: 12,000명 이상
-전시기업 국적: ASEAN 84%, 아시아권 12%, 유럽 2%
Easy Fair 전시 참가 서비스 이용 절차
STEP 01. 고객사 필요사항 확인
고객사의 요구 사항을 듣고 전시회 참가 방향 설정
일반참가, 수출바우처 사용 여부 확인
참가 대상 후보 전시 조사,추천
STEP 02. 참가 전시 부스확보
추천 후보 전시 중 참여 전시 확정
부스 사이즈, 부스타입 확정 및 소요비용 산출/ 예산수립
참가신청서 접수 및 부스 임차 계약
STEP 03. 전시참가 준비착수
전시부스 이외 부가서비스 (부스디자인, 비품, 운송, 홍보, 제작물 등) 진행 범위 확정
주최측 요구사항 일정에 맞춰 처리(각종 서류접수)
기타 주최자 커뮤니케이션
STEP 04. 출장준비
전시 참가 가이드라인 준비
사전 홍보 마케팅 (관람객유입, 바이어미팅약속)
출장자 항공/숙박 예약, 출입증 등록
STEP 05. 전시참가
부스 준비- 시공, 장식, 제품 진열
전시부스 운영
STEP 06. 전시참가 마무리
전시참가 성과분석
결과보고서 작성 지원

엔릿 아시아 스마트 에너지 산업전 2025 (Enlit Asia)
Enlit Asia (formerly POWER-GEN Asia & Asian Utility Week)2025년 9월 9일(화) - 11일(목)
방콕, 태국전시 참가준비 고민이신가요?
경험많은 전시 전문가의 지원을 받아 전시참가 준비과정의 시행 착오를 줄여보세요.
이지페어를 통한 전시 참가준비는 쉽습니다.
경험많은 전시 전문가의 지원을 받아 전시참가 준비과정의 시행 착오를 줄여보세요.
이지페어를 통한 전시 참가준비는 쉽습니다.
- · 수출바우처 수행
- · 일반 참가
- · 전시참가 준비에 필요한 전문가풀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