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시아 콘크리트 산업 박람회 2025 (Concrete Show South East Asia)
전시정보
Concrete Show South East Asia(CSEA)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매년 개최되는 동남아시아 최대 규모의 콘크리트 및 건설 산업 전문 박람회입니다. 콘크리트 기술, 건축 자재, 장비 및 관련 서비스를 선보이는 국제적인 무역 전시회로, 건설 산업의 최신 트렌드와 혁신을 공유하는 중요한 플랫폼입니다.
1. 행사 개요
-행사명: Concrete Show South East Asia (CSEA)
-개최 일정: 2025년 9월 10일(수) ~ 13일(토), 4일간 진행
-개최 장소: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Jakarta International Expo (JIExpo)
-주최사: PT Pamerindo Indonesia (Informa Markets 소속)
-개최 주기: 연 1회
-개최 회차: 2025년 기준 25회차 (첫 개최: 2013년)
-입장 대상: 전문 업계 관계자 대상 (Trade only)
-입장 방법: 온라인 사전 등록
2. 행사 성격 및 의미
Concrete Show South East Asia는 동남아시아 건설 및 콘크리트 산업의 중심 비즈니스 행사로, 글로벌 콘크리트 산업의 주요 기업들과 업계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전문 무역 박람회입니다. 이 행사는 인도네시아 및 동남아시아 지역의 콘크리트 산업에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하는 전문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ASEAN 내에서 가장 큰 건설 시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역 전체 시장의 60-7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건설 산업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건설 부문은 인도네시아 국가 소득의 약 10%를 차지하는 최대 기여자가 되었습니다.
이 박람회는 Construction Indonesia와 함께 개최되어 건설 및 인프라 부문 참가자들에게 더 넓은 접근성을 제공합니다. 또한 건설 산업의 일반적인 이슈와 동남아시아 지역 특유의 문제를 다루기 때문에 전 세계 관련 기업들에게 정보 공유 및 네트워킹 혜택을 제공합니다.
3. 역사
Concrete Show South East Asia는 2013년 10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처음 개최되었습니다.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최초로 개최된 이러한 유형의 전시회로, 건축 자재부터 전문 기계 및 지속 가능한 건설 기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선보였습니다.
2013년 첫 개최 이후 매년 성장하여 2025년에는 25회째를 맞이하게 됩니다. 2018년 6회 행사에서는 약 10,000㎡ 규모에 200개 이상의 전시업체가 참가하고 20개국 이상에서 6,000명 이상의 방문객이 참석했습니다. 2019년에는 22개국에서 366개 업체가 참가하고 12,811명의 참관객이 방문했으며, 2024년에는 28개국에서 490개 업체가 참가하고 10,300명의 방문객이 참석했습니다.
4. 구성 및 프로그램
-전시회: 콘크리트 및 건설 산업 관련 제품, 기술, 서비스 전시
-세미나 프로그램: 정부 부처, 협회 및 기타 기관과 협력하여 3일간 진행되는 세미나 프로그램
-주제별 컨퍼런스룸: 콘크리트룸, 블록룸, 프리캐스트룸, 프리스트레스룸, 철근룸 등 주제별로 구성된 컨퍼런스 공간
-라이브 데모: 일부 전시업체 부스에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라이브 시연 진행
-네트워킹 이벤트: 업계 관계자 간 네트워킹 기회 제공
-신제품 소개: 최신 제품 및 기술 소개 세션
-기술 세미나: 업계 전문가들의 기술 세미나 진행
-국가별 파빌리온: 유럽, 미국, 호주/뉴질랜드 등 국가별 파빌리온 운영
5. 해당 산업 시장 분석
동남아시아 콘크리트 시장은 2024-2032년 동안 연평균 성장률(CAGR) 4.66%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도네시아의 건설 산업은 아시아 전역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며, AECOM과 BMI Research의 추정에 따르면 2020년까지 가장 빠른 시장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인프라에 주로 투자하고 있으며, 도로 건설 부문만 해도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약 13%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30개의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에 약 5,810억 루피아가 책정되어 있습니다. 또한 정부는 주택 수요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연간 100만 가구 프로그램을 시작했습니다.
인도네시아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술의 사용은 국내 콘크리트 작업 시장의 16%에 불과하지만, 정부는 이를 50%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현재 콘크리트는 전국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건축 자재의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정부는 향후 5년 동안 인프라 개발에 658조 루피아(약 487억 7천만 달러)를 할당했습니다.
1. 행사 개요
-행사명: Concrete Show South East Asia (CSEA)
-개최 일정: 2025년 9월 10일(수) ~ 13일(토), 4일간 진행
-개최 장소: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Jakarta International Expo (JIExpo)
-주최사: PT Pamerindo Indonesia (Informa Markets 소속)
-개최 주기: 연 1회
-개최 회차: 2025년 기준 25회차 (첫 개최: 2013년)
-입장 대상: 전문 업계 관계자 대상 (Trade only)
-입장 방법: 온라인 사전 등록
2. 행사 성격 및 의미
Concrete Show South East Asia는 동남아시아 건설 및 콘크리트 산업의 중심 비즈니스 행사로, 글로벌 콘크리트 산업의 주요 기업들과 업계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전문 무역 박람회입니다. 이 행사는 인도네시아 및 동남아시아 지역의 콘크리트 산업에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하는 전문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ASEAN 내에서 가장 큰 건설 시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역 전체 시장의 60-7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건설 산업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건설 부문은 인도네시아 국가 소득의 약 10%를 차지하는 최대 기여자가 되었습니다.
이 박람회는 Construction Indonesia와 함께 개최되어 건설 및 인프라 부문 참가자들에게 더 넓은 접근성을 제공합니다. 또한 건설 산업의 일반적인 이슈와 동남아시아 지역 특유의 문제를 다루기 때문에 전 세계 관련 기업들에게 정보 공유 및 네트워킹 혜택을 제공합니다.
3. 역사
Concrete Show South East Asia는 2013년 10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처음 개최되었습니다.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최초로 개최된 이러한 유형의 전시회로, 건축 자재부터 전문 기계 및 지속 가능한 건설 기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선보였습니다.
2013년 첫 개최 이후 매년 성장하여 2025년에는 25회째를 맞이하게 됩니다. 2018년 6회 행사에서는 약 10,000㎡ 규모에 200개 이상의 전시업체가 참가하고 20개국 이상에서 6,000명 이상의 방문객이 참석했습니다. 2019년에는 22개국에서 366개 업체가 참가하고 12,811명의 참관객이 방문했으며, 2024년에는 28개국에서 490개 업체가 참가하고 10,300명의 방문객이 참석했습니다.
4. 구성 및 프로그램
-전시회: 콘크리트 및 건설 산업 관련 제품, 기술, 서비스 전시
-세미나 프로그램: 정부 부처, 협회 및 기타 기관과 협력하여 3일간 진행되는 세미나 프로그램
-주제별 컨퍼런스룸: 콘크리트룸, 블록룸, 프리캐스트룸, 프리스트레스룸, 철근룸 등 주제별로 구성된 컨퍼런스 공간
-라이브 데모: 일부 전시업체 부스에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라이브 시연 진행
-네트워킹 이벤트: 업계 관계자 간 네트워킹 기회 제공
-신제품 소개: 최신 제품 및 기술 소개 세션
-기술 세미나: 업계 전문가들의 기술 세미나 진행
-국가별 파빌리온: 유럽, 미국, 호주/뉴질랜드 등 국가별 파빌리온 운영
5. 해당 산업 시장 분석
동남아시아 콘크리트 시장은 2024-2032년 동안 연평균 성장률(CAGR) 4.66%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도네시아의 건설 산업은 아시아 전역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며, AECOM과 BMI Research의 추정에 따르면 2020년까지 가장 빠른 시장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인프라에 주로 투자하고 있으며, 도로 건설 부문만 해도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약 13%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30개의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에 약 5,810억 루피아가 책정되어 있습니다. 또한 정부는 주택 수요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연간 100만 가구 프로그램을 시작했습니다.
인도네시아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술의 사용은 국내 콘크리트 작업 시장의 16%에 불과하지만, 정부는 이를 50%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현재 콘크리트는 전국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건축 자재의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정부는 향후 5년 동안 인프라 개발에 658조 루피아(약 487억 7천만 달러)를 할당했습니다.
전시 주요 품목
-콘크리트/시멘트 제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레디믹스 콘크리트, 강화 콘크리트 제품
-화학 산업 제품: 첨가제, 방수제, 실란트, 안료
-콘크리트 도구 및 장비: 블록 생산 장비, 파이프 생산 장비, 압축 장비
-건설 기계 및 장비: 콘크리트 믹서, 배치 플랜트, 운송 차량
-보강 기술: 콘크리트 보강용 섬유, 철근 관련 제품
-프리캐스트 기술: 프리스트레스 프리캐스트 요소 생산 기계 및 액세서리
-벽 및 슬라브 생산 기술: 건축 구조물 생산 기술
-밀봉 기술: 건물, 건설, 지상 및 지하 제품용 밀봉 기술
-재활용 기술: 콘크리트 재활용 관련 기술 및 장비
-표면 처리: 석재 및 슬라브 표면 강화 기술
-스캐폴딩 및 공중 작업 플랫폼: 건설 현장 안전 장비
-마모 기술: 내구성 향상 기술
-화학 산업 제품: 첨가제, 방수제, 실란트, 안료
-콘크리트 도구 및 장비: 블록 생산 장비, 파이프 생산 장비, 압축 장비
-건설 기계 및 장비: 콘크리트 믹서, 배치 플랜트, 운송 차량
-보강 기술: 콘크리트 보강용 섬유, 철근 관련 제품
-프리캐스트 기술: 프리스트레스 프리캐스트 요소 생산 기계 및 액세서리
-벽 및 슬라브 생산 기술: 건축 구조물 생산 기술
-밀봉 기술: 건물, 건설, 지상 및 지하 제품용 밀봉 기술
-재활용 기술: 콘크리트 재활용 관련 기술 및 장비
-표면 처리: 석재 및 슬라브 표면 강화 기술
-스캐폴딩 및 공중 작업 플랫폼: 건설 현장 안전 장비
-마모 기술: 내구성 향상 기술
전시 관련 통계
지난 행사 통계 (2024년 기준)
-참가 기업 수: 490개 업체 (28개국)
-참관객 수: 10,291명
-개최 면적: 24,701㎡
-참가국 수: 28개국
-전시 품목 수: 수백 가지의 콘크리트 및 건설 관련 제품, 기술, 서비스
-컨퍼런스 세션 수: 다수의 세미나 및 기술 세션 진행
-이전 개최 실적 (2019년): 22개국에서 366개 업체 참가, 12,811명 참관
-참가 기업 수: 490개 업체 (28개국)
-참관객 수: 10,291명
-개최 면적: 24,701㎡
-참가국 수: 28개국
-전시 품목 수: 수백 가지의 콘크리트 및 건설 관련 제품, 기술, 서비스
-컨퍼런스 세션 수: 다수의 세미나 및 기술 세션 진행
-이전 개최 실적 (2019년): 22개국에서 366개 업체 참가, 12,811명 참관
Easy Fair 전시 참가 서비스 이용 절차
STEP 01. 고객사 필요사항 확인
고객사의 요구 사항을 듣고 전시회 참가 방향 설정
일반참가, 수출바우처 사용 여부 확인
참가 대상 후보 전시 조사,추천
STEP 02. 참가 전시 부스확보
추천 후보 전시 중 참여 전시 확정
부스 사이즈, 부스타입 확정 및 소요비용 산출/ 예산수립
참가신청서 접수 및 부스 임차 계약
STEP 03. 전시참가 준비착수
전시부스 이외 부가서비스 (부스디자인, 비품, 운송, 홍보, 제작물 등) 진행 범위 확정
주최측 요구사항 일정에 맞춰 처리(각종 서류접수)
기타 주최자 커뮤니케이션
STEP 04. 출장준비
전시 참가 가이드라인 준비
사전 홍보 마케팅 (관람객유입, 바이어미팅약속)
출장자 항공/숙박 예약, 출입증 등록
STEP 05. 전시참가
부스 준비- 시공, 장식, 제품 진열
전시부스 운영
STEP 06. 전시참가 마무리
전시참가 성과분석
결과보고서 작성 지원

동남아시아 콘크리트 산업 박람회 2025 (Concrete Show South East Asia)
Concrete Show South East Asia2025년 9월 10일(수) - 13일(토)
자카르타, 인도네시아전시 참가준비 고민이신가요?
경험많은 전시 전문가의 지원을 받아 전시참가 준비과정의 시행 착오를 줄여보세요.
이지페어를 통한 전시 참가준비는 쉽습니다.
경험많은 전시 전문가의 지원을 받아 전시참가 준비과정의 시행 착오를 줄여보세요.
이지페어를 통한 전시 참가준비는 쉽습니다.
- · 수출바우처 수행
- · 일반 참가
- · 전시참가 준비에 필요한 전문가풀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