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스타 부산국제게임박람회 2025 (G-STAR)
전시정보
G-STAR(지스타)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서 매년 개최되는 국제 게임 전시회로, 국내 최대 규모의 게임 산업 종합 전시회입니다. Game Show & Trade, All-Round의 약자로, 게임 산업의 최신 트렌드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아시아 대표 게임 전시회입니다.
1. 행사개요
-행사명: 국제게임전시회 지스타 (G-STAR)
-개최시기: 매년 11월 (4일간)
-개최장소: 부산 벡스코(BEXCO) 제1·2전시장
-주최: 한국게임산업협회
-주관: G-STAR 조직위원회, 부산정보산업진흥원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슬로건: "Expand Your Horizons" (2024년 기준)
-참가규모: 44개국 1,375개사 3,359부스 (2024년 기준)
-관람객수: 21만 5천여 명 (2024년 기준)
2. 성격
G-STAR는 B2B(Business to Business)와 B2C(Business to Consumer)를 동시에 아우르는 종합 게임 전시회입니다. 게임 관련 업체들의 비즈니스 미팅과 신작 게임 체험을 통한 일반 관람객 대상 전시가 함께 이루어지는 복합적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국내 게임 산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플랫폼 역할을 하며, 동시에 해외 게임사들이 한국 시장에 진입하는 관문 역할을 수행합니다. 최근에는 글로벌 게임 축제로의 방향성을 명확히 하며 세계적인 게임 전시회로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 역사
G-STAR는 2005년 첫 개최되어 2024년 2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1995년부터 2004년까지 열렸던 대한민국게임대전(KAMEX)을 계승하는 형태로 시작되었으며, 형태상으로는 1995년부터 개최된 어뮤즈월드쇼와 대한민국게임대전의 뒤를 잇고 있습니다.
주요 연혁:
-2005년: 첫 개최 (일산 킨텍스), 13개국 156개사 참여, 15만 관람객
-2006년: 바다이야기 사건으로 인한 규모 축소
-2008년: 한국콘텐츠진흥원 개혁안으로 재정비
-2009년: 부산 벡스코로 이전, 화려한 부활 (24만 관람객)
-2024년: 20주년 기념, 역대 최대 규모 개최
4. 의미
G-STAR는 한국 게임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플랫폼입니다. 세계 3대 게임쇼인 E3(미국), 도쿄게임쇼(일본), 게임스컴(독일)에 이어 아시아 지역의 핵심 게임 전시회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특히 K-게임의 글로벌 진출 교두보 역할을 하며, 국내 게임 산업의 기술력과 창의성을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창구입니다. 또한 게임 산업 생태계 전반의 발전을 도모하고, 인디게임부터 대형 게임사까지 다양한 규모의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는 포용적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5. 구성 및 프로그램
-BTC(Business to Consumer) 전시: 일반 관람객 대상 게임 체험 및 시연
-BTB(Business to Business) 전시: 게임 업계 관계자 간 비즈니스 미팅
-G-CON(국제게임컨퍼런스): 게임 산업 전문가 강연 및 세미나
-대한민국 게임대상: 국내 게임 산업 시상식
-G-STAR 인디쇼케이스 2.0: 인디게임 전시 및 체험
-G-STAR 인디어워즈: 독립 게임 개발사 시상
-게임 코스프레 어워즈/왕중왕전: 게임 캐릭터 코스프레 경연
-웰컴리셉션: 개막 행사 및 네트워킹
-G-STAR TV: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
6. 해당 산업시장분석
2024년 G-STAR에서 나타난 주요 게임 산업 트렌드:
대형 게임사 2N+1K 구조: 넥슨, 넷마블, 크래프톤이 국내 게임 산업을 주도하는 구조가 명확해졌습니다. 특히 넥슨이 메인 스폰서로 참여하며 300부스 규모의 대형 전시공간을 마련했습니다.
AI 기술 활용 가속화: 생성형 AI 기술의 고도화와 함께 게임 개발 및 운영 전반에 AI 활용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게임 개발 효율성 향상과 새로운 게임 경험 창출에 AI가 핵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모바일에서 콘솔로의 전환: 모바일 MMORPG의 성장 둔화와 함께 콘솔 게임 시장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스팀덱과 같은 휴대용 게임기의 등장으로 새로운 게임 플랫폼 생태계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IP 투트랙 전략: 웹툰, 드라마 등 다양한 콘텐츠 IP를 게임으로 확장하는 전략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기존 IP 활용과 새로운 IP 창출을 동시에 추진하는 투트랙 전략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1. 행사개요
-행사명: 국제게임전시회 지스타 (G-STAR)
-개최시기: 매년 11월 (4일간)
-개최장소: 부산 벡스코(BEXCO) 제1·2전시장
-주최: 한국게임산업협회
-주관: G-STAR 조직위원회, 부산정보산업진흥원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슬로건: "Expand Your Horizons" (2024년 기준)
-참가규모: 44개국 1,375개사 3,359부스 (2024년 기준)
-관람객수: 21만 5천여 명 (2024년 기준)
2. 성격
G-STAR는 B2B(Business to Business)와 B2C(Business to Consumer)를 동시에 아우르는 종합 게임 전시회입니다. 게임 관련 업체들의 비즈니스 미팅과 신작 게임 체험을 통한 일반 관람객 대상 전시가 함께 이루어지는 복합적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국내 게임 산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플랫폼 역할을 하며, 동시에 해외 게임사들이 한국 시장에 진입하는 관문 역할을 수행합니다. 최근에는 글로벌 게임 축제로의 방향성을 명확히 하며 세계적인 게임 전시회로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 역사
G-STAR는 2005년 첫 개최되어 2024년 2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1995년부터 2004년까지 열렸던 대한민국게임대전(KAMEX)을 계승하는 형태로 시작되었으며, 형태상으로는 1995년부터 개최된 어뮤즈월드쇼와 대한민국게임대전의 뒤를 잇고 있습니다.
주요 연혁:
-2005년: 첫 개최 (일산 킨텍스), 13개국 156개사 참여, 15만 관람객
-2006년: 바다이야기 사건으로 인한 규모 축소
-2008년: 한국콘텐츠진흥원 개혁안으로 재정비
-2009년: 부산 벡스코로 이전, 화려한 부활 (24만 관람객)
-2024년: 20주년 기념, 역대 최대 규모 개최
4. 의미
G-STAR는 한국 게임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플랫폼입니다. 세계 3대 게임쇼인 E3(미국), 도쿄게임쇼(일본), 게임스컴(독일)에 이어 아시아 지역의 핵심 게임 전시회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특히 K-게임의 글로벌 진출 교두보 역할을 하며, 국내 게임 산업의 기술력과 창의성을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창구입니다. 또한 게임 산업 생태계 전반의 발전을 도모하고, 인디게임부터 대형 게임사까지 다양한 규모의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는 포용적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5. 구성 및 프로그램
-BTC(Business to Consumer) 전시: 일반 관람객 대상 게임 체험 및 시연
-BTB(Business to Business) 전시: 게임 업계 관계자 간 비즈니스 미팅
-G-CON(국제게임컨퍼런스): 게임 산업 전문가 강연 및 세미나
-대한민국 게임대상: 국내 게임 산업 시상식
-G-STAR 인디쇼케이스 2.0: 인디게임 전시 및 체험
-G-STAR 인디어워즈: 독립 게임 개발사 시상
-게임 코스프레 어워즈/왕중왕전: 게임 캐릭터 코스프레 경연
-웰컴리셉션: 개막 행사 및 네트워킹
-G-STAR TV: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
6. 해당 산업시장분석
2024년 G-STAR에서 나타난 주요 게임 산업 트렌드:
대형 게임사 2N+1K 구조: 넥슨, 넷마블, 크래프톤이 국내 게임 산업을 주도하는 구조가 명확해졌습니다. 특히 넥슨이 메인 스폰서로 참여하며 300부스 규모의 대형 전시공간을 마련했습니다.
AI 기술 활용 가속화: 생성형 AI 기술의 고도화와 함께 게임 개발 및 운영 전반에 AI 활용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게임 개발 효율성 향상과 새로운 게임 경험 창출에 AI가 핵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모바일에서 콘솔로의 전환: 모바일 MMORPG의 성장 둔화와 함께 콘솔 게임 시장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스팀덱과 같은 휴대용 게임기의 등장으로 새로운 게임 플랫폼 생태계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IP 투트랙 전략: 웹툰, 드라마 등 다양한 콘텐츠 IP를 게임으로 확장하는 전략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기존 IP 활용과 새로운 IP 창출을 동시에 추진하는 투트랙 전략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시 주요 품목
-온라인 게임: MMORPG, MOBA, 배틀로얄 등 PC 온라인 게임
-모바일 게임: RPG, 캐주얼, 액션 등 모바일 플랫폼 게임
-콘솔 게임: PlayStation, Xbox, Nintendo Switch 등 콘솔 플랫폼 게임
-인디게임: 개인 또는 소규모 팀이 개발한 독립 게임
-VR/AR 게임: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게임
-게임 개발 솔루션: 게임 엔진, 개발 도구, 미들웨어
-게임 인프라: 클라우드 서비스, 결제 시스템, 보안 솔루션
-e스포츠: 프로게임 대회 및 관련 서비스
-모바일 게임: RPG, 캐주얼, 액션 등 모바일 플랫폼 게임
-콘솔 게임: PlayStation, Xbox, Nintendo Switch 등 콘솔 플랫폼 게임
-인디게임: 개인 또는 소규모 팀이 개발한 독립 게임
-VR/AR 게임: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게임
-게임 개발 솔루션: 게임 엔진, 개발 도구, 미들웨어
-게임 인프라: 클라우드 서비스, 결제 시스템, 보안 솔루션
-e스포츠: 프로게임 대회 및 관련 서비스
전시 관련 통계
2024년 (20주년):
-참가국: 44개국
-참가기업: 1,375개사
-부스수: 3,359부스 (BTC 2,435부스, BTB 924부스)
-관람객수: 21만 5천여 명
-개최면적: 벡스코 제1·2전시장
-참가국: 44개국
-참가기업: 1,375개사
-부스수: 3,359부스 (BTC 2,435부스, BTB 924부스)
-관람객수: 21만 5천여 명
-개최면적: 벡스코 제1·2전시장
Easy Fair 전시 참가 서비스 이용 절차
STEP 01. 고객사 필요사항 확인
고객사의 요구 사항을 듣고 전시회 참가 방향 설정
일반참가, 수출바우처 사용 여부 확인
참가 대상 후보 전시 조사,추천
STEP 02. 참가 전시 부스확보
추천 후보 전시 중 참여 전시 확정
부스 사이즈, 부스타입 확정 및 소요비용 산출/ 예산수립
참가신청서 접수 및 부스 임차 계약
STEP 03. 전시참가 준비착수
전시부스 이외 부가서비스 (부스디자인, 비품, 운송, 홍보, 제작물 등) 진행 범위 확정
주최측 요구사항 일정에 맞춰 처리(각종 서류접수)
기타 주최자 커뮤니케이션
STEP 04. 출장준비
전시 참가 가이드라인 준비
사전 홍보 마케팅 (관람객유입, 바이어미팅약속)
출장자 항공/숙박 예약, 출입증 등록
STEP 05. 전시참가
부스 준비- 시공, 장식, 제품 진열
전시부스 운영
STEP 06. 전시참가 마무리
전시참가 성과분석
결과보고서 작성 지원

지스타 부산국제게임박람회 2025 (G-STAR)
G-STAR2025년 11월 13일(목) - 16일(일)
부산, 대한민국전시 참가준비 고민이신가요?
경험많은 전시 전문가의 지원을 받아 전시참가 준비과정의 시행 착오를 줄여보세요.
이지페어를 통한 전시 참가준비는 쉽습니다.
경험많은 전시 전문가의 지원을 받아 전시참가 준비과정의 시행 착오를 줄여보세요.
이지페어를 통한 전시 참가준비는 쉽습니다.
- · 수출바우처 수행
- · 일반 참가
- · 전시참가 준비에 필요한 전문가풀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