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 국제 TV 콘텐츠 마켓 2024 (MIPTV)
전시정보
MIPTV는 프랑스 칸에서 매년 봄에 개최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 텔레비전 콘텐츠 마켓으로, 전 세계 방송사, 제작사, 배급사들이 콘텐츠 거래, 공동제작, 라이선싱을 위해 모이는 핵심 비즈니스 플랫폼입니다.
1. 행사개요
-정식명칭: MIPTV (Marché International des Programmes de Télévision)
-개최지: 프랑스 칸 팔레 데 페스티벌
-개최시기: 매년 4월 (봄철)
-개최기간: 3일간
-참가국: 전 세계 100여 개국
-주요 시설: 칸 영화제와 동일한 인프라 활용
-운영주체: RX Global (구 Reed MIDEM)
2. 성격
MIPTV는 본질적으로 콘텐츠 마켓으로서 공동제작, 구매, 판매, 자금조달, 배급을 위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거래의 장입니다. TV, 영화, 디지털, 시청각 콘텐츠 제작 및 배급 업계 종사자들에게 시장 컨퍼런스와 네트워킹 포럼을 제공하여 미래 트렌드를 발견하고 글로벌 차원에서 콘텐츠 권리를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합니다.
3. 역사
MIPTV는 1963년 프랑스 리옹에서 베르나르 셰브리(Bernard Chevry)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이는 세계 최초의 시청각 마켓인 밀라노의 MIFED가 시작된 지 3년 후였습니다. 첫 번째 MIPTV에는 19개국 119개 회사가 참가했습니다.
1965년 1년간의 중단 후 MIPTV는 칸으로 이전하여 구 팔레를 전시장으로 사용했습니다. 1982년에는 새로운 팔레로 이전했으며, 구 팔레는 호텔로 전환되었습니다. 1987년 시장을 조직하던 회사 MIDEM이 영국의 Television South(TVS)에 500만 파운드에 매각되었고, 2년 후 TVS는 MIDEM을 Reed Exhibitions에 2천만 달러에 매각하여 Reed MIDEM으로 명칭을 변경했습니다.
4. 의미
MIPTV는 글로벌 TV 콘텐츠 거래의 허브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전통적인 방송사부터 디지털 플랫폼까지 엔터테인먼트 공급망 전반의 주요 플레이어들이 모여 콘텐츠 획득, 자금조달, 공동제작, 배급을 위한 프리미어 플랫폼 역할을 합니다. 1964년 설립 이래 글로벌 임원들이 모여 최신 트렌드를 발견하고 새로운 파트너십을 구축하며 텔레비전 비즈니스의 모든 측면에서 거래를 성사시키는 선도적인 마켓플레이스로 지속되고 있습니다.
5. 구성 및 프로그램
-콘텐츠 구매자 및 판매자: 100개국 이상의 의사결정권자들이 참가
-공동제작 및 자금조달 거래: 제작자와 투자자들의 협력 허브
-혁신적인 배급 모델: AVOD, SVOD, FAST 채널 등 최첨단 배급 모델 전시
-사상 리더십 및 산업 트렌드: 미래 콘텐츠 트렌드, 신흥 포맷, 새로운 수익화 모델 논의
-FAST & AVOD 서밋: 가장 성장세가 높은 세그먼트
-전시 부스: 팔레 데 페스티벌 내 전시 공간
-스크리닝 룸: 콘텐츠 상영을 위한 전용 공간
-국가별 파빌리온: 다양한 국가의 집단 참가 부스
6. 해당 산업시장분석
글로벌 FAST(Free Ad-Supported Streaming TV) 채널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2023년 중반 기준 전 세계적으로 1,400개 이상의 FAST 채널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미국 외 지역에서도 2027년까지 16억 달러 규모의 FAST 채널 수익 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전년 대비 시청 시간이 181% 증가하여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으로 부상했으며, 라틴 아메리카는 20%, EMEA 지역은 58%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MIPTV는 참가자 수 감소와 시장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2024년이 마지막 개최가 될 예정입니다.
7. 한국참가기업
한국은 MIPTV와 관련 행사인 MIPCOM에 적극적으로 참가하고 있습니다. 2022년 MIPCOM에서는 300명 이상의 한국인이 참가하여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주요 참가 기업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KBS Media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
-한국교육방송공사(EBS)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MBC
-SBS Contents
-SLL/JTBC
1. 행사개요
-정식명칭: MIPTV (Marché International des Programmes de Télévision)
-개최지: 프랑스 칸 팔레 데 페스티벌
-개최시기: 매년 4월 (봄철)
-개최기간: 3일간
-참가국: 전 세계 100여 개국
-주요 시설: 칸 영화제와 동일한 인프라 활용
-운영주체: RX Global (구 Reed MIDEM)
2. 성격
MIPTV는 본질적으로 콘텐츠 마켓으로서 공동제작, 구매, 판매, 자금조달, 배급을 위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거래의 장입니다. TV, 영화, 디지털, 시청각 콘텐츠 제작 및 배급 업계 종사자들에게 시장 컨퍼런스와 네트워킹 포럼을 제공하여 미래 트렌드를 발견하고 글로벌 차원에서 콘텐츠 권리를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합니다.
3. 역사
MIPTV는 1963년 프랑스 리옹에서 베르나르 셰브리(Bernard Chevry)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이는 세계 최초의 시청각 마켓인 밀라노의 MIFED가 시작된 지 3년 후였습니다. 첫 번째 MIPTV에는 19개국 119개 회사가 참가했습니다.
1965년 1년간의 중단 후 MIPTV는 칸으로 이전하여 구 팔레를 전시장으로 사용했습니다. 1982년에는 새로운 팔레로 이전했으며, 구 팔레는 호텔로 전환되었습니다. 1987년 시장을 조직하던 회사 MIDEM이 영국의 Television South(TVS)에 500만 파운드에 매각되었고, 2년 후 TVS는 MIDEM을 Reed Exhibitions에 2천만 달러에 매각하여 Reed MIDEM으로 명칭을 변경했습니다.
4. 의미
MIPTV는 글로벌 TV 콘텐츠 거래의 허브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전통적인 방송사부터 디지털 플랫폼까지 엔터테인먼트 공급망 전반의 주요 플레이어들이 모여 콘텐츠 획득, 자금조달, 공동제작, 배급을 위한 프리미어 플랫폼 역할을 합니다. 1964년 설립 이래 글로벌 임원들이 모여 최신 트렌드를 발견하고 새로운 파트너십을 구축하며 텔레비전 비즈니스의 모든 측면에서 거래를 성사시키는 선도적인 마켓플레이스로 지속되고 있습니다.
5. 구성 및 프로그램
-콘텐츠 구매자 및 판매자: 100개국 이상의 의사결정권자들이 참가
-공동제작 및 자금조달 거래: 제작자와 투자자들의 협력 허브
-혁신적인 배급 모델: AVOD, SVOD, FAST 채널 등 최첨단 배급 모델 전시
-사상 리더십 및 산업 트렌드: 미래 콘텐츠 트렌드, 신흥 포맷, 새로운 수익화 모델 논의
-FAST & AVOD 서밋: 가장 성장세가 높은 세그먼트
-전시 부스: 팔레 데 페스티벌 내 전시 공간
-스크리닝 룸: 콘텐츠 상영을 위한 전용 공간
-국가별 파빌리온: 다양한 국가의 집단 참가 부스
6. 해당 산업시장분석
글로벌 FAST(Free Ad-Supported Streaming TV) 채널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2023년 중반 기준 전 세계적으로 1,400개 이상의 FAST 채널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미국 외 지역에서도 2027년까지 16억 달러 규모의 FAST 채널 수익 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전년 대비 시청 시간이 181% 증가하여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으로 부상했으며, 라틴 아메리카는 20%, EMEA 지역은 58%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MIPTV는 참가자 수 감소와 시장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2024년이 마지막 개최가 될 예정입니다.
7. 한국참가기업
한국은 MIPTV와 관련 행사인 MIPCOM에 적극적으로 참가하고 있습니다. 2022년 MIPCOM에서는 300명 이상의 한국인이 참가하여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주요 참가 기업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KBS Media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
-한국교육방송공사(EBS)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MBC
-SBS Contents
-SLL/JTBC
전시 주요 품목
-제작 도구 및 장비
-애니메이션 장비
-오디오 및 비디오 기기
-위성 장치 및 케이블 장비
-VOD 플랫폼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도구
-모바일 운영자 서비스
-미디어 장비 및 녹화 도구
-영화 커미션 서비스
-은행 및 금융 서비스
-기술 솔루션
-머천다이징 도구
-텔레비전 상영 서비스
-애니메이션 장비
-오디오 및 비디오 기기
-위성 장치 및 케이블 장비
-VOD 플랫폼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도구
-모바일 운영자 서비스
-미디어 장비 및 녹화 도구
-영화 커미션 서비스
-은행 및 금융 서비스
-기술 솔루션
-머천다이징 도구
-텔레비전 상영 서비스
전시 관련 통계
-2024년 참가자 수: 3,537명 (전년 5,500명 대비 감소)
-2024년 참가국: 84개국
-2024년 구매자 수: 1,133명
-2024년 전시업체 수: 135개
-2024년 국가별 파빌리온: 11개
-2023년 참가자 수: 5,650명 (86개국)
-2019년 참가자 수: 9,500명
-2018년 참가자 수: 10,000명
-전시업체 수: 1,550개 이상의 전문 전시업체
-개최 면적: 팔레 데 페스티벌 전체 활용
-2024년 참가국: 84개국
-2024년 구매자 수: 1,133명
-2024년 전시업체 수: 135개
-2024년 국가별 파빌리온: 11개
-2023년 참가자 수: 5,650명 (86개국)
-2019년 참가자 수: 9,500명
-2018년 참가자 수: 10,000명
-전시업체 수: 1,550개 이상의 전문 전시업체
-개최 면적: 팔레 데 페스티벌 전체 활용
Easy Fair 전시 참가 서비스 이용 절차
STEP 01. 고객사 필요사항 확인
고객사의 요구 사항을 듣고 전시회 참가 방향 설정
일반참가, 수출바우처 사용 여부 확인
참가 대상 후보 전시 조사,추천
STEP 02. 참가 전시 부스확보
추천 후보 전시 중 참여 전시 확정
부스 사이즈, 부스타입 확정 및 소요비용 산출/ 예산수립
참가신청서 접수 및 부스 임차 계약
STEP 03. 전시참가 준비착수
전시부스 이외 부가서비스 (부스디자인, 비품, 운송, 홍보, 제작물 등) 진행 범위 확정
주최측 요구사항 일정에 맞춰 처리(각종 서류접수)
기타 주최자 커뮤니케이션
STEP 04. 출장준비
전시 참가 가이드라인 준비
사전 홍보 마케팅 (관람객유입, 바이어미팅약속)
출장자 항공/숙박 예약, 출입증 등록
STEP 05. 전시참가
부스 준비- 시공, 장식, 제품 진열
전시부스 운영
STEP 06. 전시참가 마무리
전시참가 성과분석
결과보고서 작성 지원

칸 국제 TV 콘텐츠 마켓 2024 (MIPTV)
MIPTV2024년 4월 8일(월) - 10일(수)
칸, 프랑스전시 참가준비 고민이신가요?
경험많은 전시 전문가의 지원을 받아 전시참가 준비과정의 시행 착오를 줄여보세요.
이지페어를 통한 전시 참가준비는 쉽습니다.
경험많은 전시 전문가의 지원을 받아 전시참가 준비과정의 시행 착오를 줄여보세요.
이지페어를 통한 전시 참가준비는 쉽습니다.
- · 수출바우처 수행
- · 일반 참가
- · 전시참가 준비에 필요한 전문가풀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