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 국제 TV 콘텐츠 박람회 2025 (MIP LONDON)
전시정보
MIP LONDON은 런던에서 개최되는 국제 다장르 TV 콘텐츠 마켓 및 네트워킹 이벤트로, 전 세계 콘텐츠 제작자, 배급업체, 구매자, 커미셔너들이 모이는 글로벌 TV 산업의 핵심 행사입니다.
**MIPTV의 종료와 MIP LONDON의 탄생
MIPTV는 2024년 4월 마지막 개최를 끝으로 61년의 역사를 마감했습니다. 1963년 리옹에서 시작되어 1965년부터 칸에서 개최되어온 MIPTV는 참가자 수가 2019년 9,500명에서 2024년 3,500명으로 급격히 감소하면서 지속 가능성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RX France의 Lucy Smith는 "MIPTV를 런던으로 이전한 것이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컨퍼런스, 네트워킹, 스크리닝 이벤트를 만든 것"이라고 명확히 구분했습니다. 즉, MIP LONDON은 MIPTV의 단순한 장소 이전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행사입니다.
**변화의 배경: 산업 환경 변화
-스트리밍 플랫폼의 부상: 넷플릭스, 아마존 등 글로벌 플랫폼들이 전통적인 지역별 배급 모델을 변화시켰습니다
-계절성 해체: 온디맨드 모델로 인해 연중 지속적인 콘텐츠 공급이 필요해지면서 4월 MIPTV의 중요성이 감소했습니다
-배급 캘린더 변화: 배급 일정이 연초와 런던으로 집중되면서 2월 런던 스크리닝의 중요성이 증가했습니다
1. 행사개요
-행사명: MIP LONDON (국제 다장르 TV 마켓 및 네트워킹 이벤트)
-개최일정: 2025년 2월 23일-27일 (5일간)
-개최장소: 런던 사보이 호텔(Savoy Hotel) 및 IET 런던
-주최기관: RX France
-행사성격: 국제 콘텐츠 마켓, 스크리닝, 컨퍼런스 및 네트워킹 이벤트
-참가규모: 2,800명 이상의 참가자, 80개국 이상, 1,000명 이상의 구매자
-전시업체: 72개 전시업체 (사보이 호텔 30개, IET 런던 42개)
2. 성격
MIP LONDON은 다장르 국제 콘텐츠 마켓으로서 TV, 영화, 디지털 및 오디오비주얼 콘텐츠의 공동제작, 구매, 판매, 자금조달 및 배급을 위한 종합적인 비즈니스 플랫폼입니다. 이 행사는 기존 런던 TV 스크리닝과 보완적 관계를 유지하며, 글로벌 TV 산업 변화의 최전선에서 핵심 플레이어들을 연결하는 중앙 허브 역할을 합니다.
3. 역사
MIP LONDON은 2025년 2월에 첫 번째 개최된 완전히 새로운 행사입니다. 이 행사는 1963년부터 시작되어 2024년 4월 마지막 개최된 칸 MIPTV의 후속 행사로 기획되었습니다. 칸 MIPTV는 참가자 수가 2019년 9,500명에서 2024년 3,500명으로 감소하면서 종료되었고, 이를 대체하여 런던에서 새롭게 시작된 것이 MIP LONDON입니다.
4. 의미
MIP LONDON은 글로벌 TV 산업에서 런던의 위상을 강화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2월 런던 TV 스크리닝의 성장과 함께 런던이 겨울철 주요 TV 마켓의 중심지로 자리잡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통적인 콘텐츠 제작, 시청, 수익화 모델을 넘어서는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와 파트너십을 탐색하는 플랫폼 역할을 합니다.
5. 구성 및 프로그램
-메인 스테이지 키노트 세션: 넷플릭스 최고 콘텐츠 책임자 벨라 바자리아와 데이비드 베컴의 대담
-스크리닝 및 쇼케이스: 전 세계 콘텐츠 상영 및 포맷 쇼케이스
-컨퍼런스 및 워크숍: 산업 인사이트 및 전문가 세션
-매치메이킹 이벤트: 비즈니스 연결 및 네트워킹 기회
-MIPDOC 및 MIPFORMATS: 다큐멘터리 및 포맷 전문 세션 (2월 23-24일)
-글로벌 스트리밍 전략 서밋: 스트리밍 플랫폼 전략 논의
-아시아 콘텐츠 세션: 한국 KOCCA, 일본 TV 아사히, 요미우리 TV 쇼케이스
-디지털 퍼스트 세션: YouTube, TikTok 등 플랫폼 전략 논의
6. 해당 산업시장분석
글로벌 TV 콘텐츠 시장은 스트리밍 플랫폼의 급성장과 함께 전통적인 방송 모델에서 디지털 우선 전략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시아 콘텐츠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 일본, 중국 등 아시아 시장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MIP LONDON은 이러한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서 FAST, AVOD, CTV 플레이어들과 전통적인 제작사, 배급업체 간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탐색하는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7. 한국참가기업
한국은 정부기관 KOCCA의 주도하에 25개 이상의 기업이 참가했습니다. 주요 참가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A Story
-CJ ENM
-Imaginus
-KBS
-LGU+
-Netopia
-Something Special
-SBS
한국은 *국가관(Country Pavilion)을 운영하며, KOCCA 쇼케이스를 통해 한국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홍보했습니다.
**MIPTV의 종료와 MIP LONDON의 탄생
MIPTV는 2024년 4월 마지막 개최를 끝으로 61년의 역사를 마감했습니다. 1963년 리옹에서 시작되어 1965년부터 칸에서 개최되어온 MIPTV는 참가자 수가 2019년 9,500명에서 2024년 3,500명으로 급격히 감소하면서 지속 가능성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RX France의 Lucy Smith는 "MIPTV를 런던으로 이전한 것이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컨퍼런스, 네트워킹, 스크리닝 이벤트를 만든 것"이라고 명확히 구분했습니다. 즉, MIP LONDON은 MIPTV의 단순한 장소 이전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행사입니다.
**변화의 배경: 산업 환경 변화
-스트리밍 플랫폼의 부상: 넷플릭스, 아마존 등 글로벌 플랫폼들이 전통적인 지역별 배급 모델을 변화시켰습니다
-계절성 해체: 온디맨드 모델로 인해 연중 지속적인 콘텐츠 공급이 필요해지면서 4월 MIPTV의 중요성이 감소했습니다
-배급 캘린더 변화: 배급 일정이 연초와 런던으로 집중되면서 2월 런던 스크리닝의 중요성이 증가했습니다
1. 행사개요
-행사명: MIP LONDON (국제 다장르 TV 마켓 및 네트워킹 이벤트)
-개최일정: 2025년 2월 23일-27일 (5일간)
-개최장소: 런던 사보이 호텔(Savoy Hotel) 및 IET 런던
-주최기관: RX France
-행사성격: 국제 콘텐츠 마켓, 스크리닝, 컨퍼런스 및 네트워킹 이벤트
-참가규모: 2,800명 이상의 참가자, 80개국 이상, 1,000명 이상의 구매자
-전시업체: 72개 전시업체 (사보이 호텔 30개, IET 런던 42개)
2. 성격
MIP LONDON은 다장르 국제 콘텐츠 마켓으로서 TV, 영화, 디지털 및 오디오비주얼 콘텐츠의 공동제작, 구매, 판매, 자금조달 및 배급을 위한 종합적인 비즈니스 플랫폼입니다. 이 행사는 기존 런던 TV 스크리닝과 보완적 관계를 유지하며, 글로벌 TV 산업 변화의 최전선에서 핵심 플레이어들을 연결하는 중앙 허브 역할을 합니다.
3. 역사
MIP LONDON은 2025년 2월에 첫 번째 개최된 완전히 새로운 행사입니다. 이 행사는 1963년부터 시작되어 2024년 4월 마지막 개최된 칸 MIPTV의 후속 행사로 기획되었습니다. 칸 MIPTV는 참가자 수가 2019년 9,500명에서 2024년 3,500명으로 감소하면서 종료되었고, 이를 대체하여 런던에서 새롭게 시작된 것이 MIP LONDON입니다.
4. 의미
MIP LONDON은 글로벌 TV 산업에서 런던의 위상을 강화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2월 런던 TV 스크리닝의 성장과 함께 런던이 겨울철 주요 TV 마켓의 중심지로 자리잡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통적인 콘텐츠 제작, 시청, 수익화 모델을 넘어서는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와 파트너십을 탐색하는 플랫폼 역할을 합니다.
5. 구성 및 프로그램
-메인 스테이지 키노트 세션: 넷플릭스 최고 콘텐츠 책임자 벨라 바자리아와 데이비드 베컴의 대담
-스크리닝 및 쇼케이스: 전 세계 콘텐츠 상영 및 포맷 쇼케이스
-컨퍼런스 및 워크숍: 산업 인사이트 및 전문가 세션
-매치메이킹 이벤트: 비즈니스 연결 및 네트워킹 기회
-MIPDOC 및 MIPFORMATS: 다큐멘터리 및 포맷 전문 세션 (2월 23-24일)
-글로벌 스트리밍 전략 서밋: 스트리밍 플랫폼 전략 논의
-아시아 콘텐츠 세션: 한국 KOCCA, 일본 TV 아사히, 요미우리 TV 쇼케이스
-디지털 퍼스트 세션: YouTube, TikTok 등 플랫폼 전략 논의
6. 해당 산업시장분석
글로벌 TV 콘텐츠 시장은 스트리밍 플랫폼의 급성장과 함께 전통적인 방송 모델에서 디지털 우선 전략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시아 콘텐츠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 일본, 중국 등 아시아 시장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MIP LONDON은 이러한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서 FAST, AVOD, CTV 플레이어들과 전통적인 제작사, 배급업체 간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탐색하는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7. 한국참가기업
한국은 정부기관 KOCCA의 주도하에 25개 이상의 기업이 참가했습니다. 주요 참가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A Story
-CJ ENM
-Imaginus
-KBS
-LGU+
-Netopia
-Something Special
-SBS
한국은 *국가관(Country Pavilion)을 운영하며, KOCCA 쇼케이스를 통해 한국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홍보했습니다.
전시 주요 품목
-다큐멘터리 및 팩추얼 콘텐츠: MIPDOC을 통한 전문 세션
-TV 포맷: MIPFORMATS를 통한 포맷 피칭 및 쇼케이스
-드라마 및 시리즈: 국제 스크립트 콘텐츠 상영
-언스크립트 콘텐츠: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
-디지털 퍼스트 콘텐츠: 온라인 플랫폼 전용 콘텐츠
-아동 콘텐츠: 어린이 콘텐츠 서밋
-아시아 콘텐츠: 한국, 일본, 중국 등 아시아 포맷 및 드라마
-스트리밍 콘텐츠: OTT 플랫폼 전용 콘텐츠
-TV 포맷: MIPFORMATS를 통한 포맷 피칭 및 쇼케이스
-드라마 및 시리즈: 국제 스크립트 콘텐츠 상영
-언스크립트 콘텐츠: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
-디지털 퍼스트 콘텐츠: 온라인 플랫폼 전용 콘텐츠
-아동 콘텐츠: 어린이 콘텐츠 서밋
-아시아 콘텐츠: 한국, 일본, 중국 등 아시아 포맷 및 드라마
-스트리밍 콘텐츠: OTT 플랫폼 전용 콘텐츠
전시 관련 통계
지난행사 통계 (2025년 첫 개최)
-총 참가자 수: 2,800명 이상
-참가국 수: 80개국 이상
-구매자 수: 1,000명 이상
-전시업체 수: 72개 업체
-미국 업체: 18개
-영국 업체: 11개
-터키 업체: 6개
-국가관 운영: 벨기에, 중국, 프랑스, 한국, 스페인
-개최장소: 사보이 호텔 (3개 층, 30개 전시업체) + IET 런던 (4개 층, 42개 전시업체)
-아시아 참가: 25개 아시아 국가, 80명의 아시아 구매자
-총 참가자 수: 2,800명 이상
-참가국 수: 80개국 이상
-구매자 수: 1,000명 이상
-전시업체 수: 72개 업체
-미국 업체: 18개
-영국 업체: 11개
-터키 업체: 6개
-국가관 운영: 벨기에, 중국, 프랑스, 한국, 스페인
-개최장소: 사보이 호텔 (3개 층, 30개 전시업체) + IET 런던 (4개 층, 42개 전시업체)
-아시아 참가: 25개 아시아 국가, 80명의 아시아 구매자
Easy Fair 전시 참가 서비스 이용 절차
STEP 01. 고객사 필요사항 확인
고객사의 요구 사항을 듣고 전시회 참가 방향 설정
일반참가, 수출바우처 사용 여부 확인
참가 대상 후보 전시 조사,추천
STEP 02. 참가 전시 부스확보
추천 후보 전시 중 참여 전시 확정
부스 사이즈, 부스타입 확정 및 소요비용 산출/ 예산수립
참가신청서 접수 및 부스 임차 계약
STEP 03. 전시참가 준비착수
전시부스 이외 부가서비스 (부스디자인, 비품, 운송, 홍보, 제작물 등) 진행 범위 확정
주최측 요구사항 일정에 맞춰 처리(각종 서류접수)
기타 주최자 커뮤니케이션
STEP 04. 출장준비
전시 참가 가이드라인 준비
사전 홍보 마케팅 (관람객유입, 바이어미팅약속)
출장자 항공/숙박 예약, 출입증 등록
STEP 05. 전시참가
부스 준비- 시공, 장식, 제품 진열
전시부스 운영
STEP 06. 전시참가 마무리
전시참가 성과분석
결과보고서 작성 지원

런던 국제 TV 콘텐츠 박람회 2025 (MIP LONDON)
MIPTV2026년 2월
런던, 영국전시 참가준비 고민이신가요?
경험많은 전시 전문가의 지원을 받아 전시참가 준비과정의 시행 착오를 줄여보세요.
이지페어를 통한 전시 참가준비는 쉽습니다.
경험많은 전시 전문가의 지원을 받아 전시참가 준비과정의 시행 착오를 줄여보세요.
이지페어를 통한 전시 참가준비는 쉽습니다.
- · 수출바우처 수행
- · 일반 참가
- · 전시참가 준비에 필요한 전문가풀 운영